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혈액형이 13가지? 수혈·헌혈까지 한번에 정리!

by 투투정 2025. 9. 9.
반응형

강아지 혈액형이 13가지? 수혈·헌혈까지 한번에 정리! 관련 사진

강아지도 사람처럼 다양한 혈액형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기준, 강아지는 13가지 이상의 혈액 그룹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수혈이나 헌혈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정확한 혈액형 확인과 교차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혈액형 종류부터 임상에서의 수혈, 헌혈 프로그램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1. 강아지 혈액형, 왜 13가지나 될까?

강아지의 혈액형은 ‘DEA(Dog Erythrocyte Antigen)’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의되는데요, 현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혈액형 외에도 다양한 아형이 발견되고 있어 13가지 이상 혈액 그룹이 기술된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의미 있는 혈액형은 DEA 1, 3, 4, 5, 6, 7, 8이 있으며, Dal, Kai‑1, Kai‑2와 같은 아형도 최근 추가로 확인되었습니다.

2. 대표 혈액형별 정리표

혈액형 임상적 중요성
DEA 1 가장 중요, 항체 형성 시 급성 용혈반응 유발 가능
DEA 3, 5, 7 자연 항체 존재, 지연 용혈 반응이 주요 위험
DEA 4, 6 약 98% 개체에 존재, 항체 거의 없어 ‘유니버설 도너’ 역할 가능
Dal, Kai‑1/2 외 추가 혈액형, 반복 수혈 시 중요도 증가

※특히 DEA 1은 사람의 RH‑1과 유사하게 매우 강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수혈 시 가장 먼저 확인되는 혈액형입니다.

3. 수혈 전 꼭 필요한 절차: 혈액형 검사와 교차검사

수혈 시, 강아지의 혈액형을 먼저 확인한 후 필요한 경우 교차검사(crossmatching)를 시행합니다. DEA‑1 음성 강아지는 대부분의 개에게 안전하게 수혈할 수 있어 '유니버설 도너'로 활용됩니다.

 

반면 DEA‑1 양성의 경우, 음성에게 수혈 시 acute hemolytic reaction(용혈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복 수혈을 받은 개는 아형(예: Dal)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어, 수혈 반응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혈액형 검사 방법은 수도요법을 통한 혈액 샘플링으로 진행되며, 수의 진단센터 또는 일부 검사진행 병원에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4. 강아지 헌혈 프로그램이란?

반려견 헌혈은 여러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헌혈견에게 건강 검진과 예방접종 혜택을 제공하는 곳도 많습니다. 특히 DEA‑1 음성인 개들은 헌혈 시 우선적으로 선호되는 ‘유니버설 도너’입니다.

 

예: 미국의 일부 기관은 헌혈견에게 건강검진 지원과 리워드를 제공하며, 영국에서는 DEA‑1 음성 견종(예: 그레이하운드, 도베르만 등)을 헌혈 캠페인 중심견으로 모집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Q&A)

  • Q: 강아지 혈액형도 검사할 수 있나요?
    A: 네, 수의 검사실에서 혈액형 검사와 교차검사를 모두 가능합니다.
  • Q: 왜 13가지라고 하는데 보통은 7가지 얘기하나요?
    A: 7가지 혈액형(DEA 1,3,4,5,6,7,8)이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지며, 나머지는 최근 연구로 밝혀진 아형입니다.
  • Q: 반복 수혈이 문제될 수 있을까요?
    A: 네, 반복 수혈은 항체 형성을 유발해 지연 또는 급성 수혈 반응 위험을 높입니다. 따라서 교차검사가 중요합니다.
  • Q: 강아지가 헌혈할 수 있나요?
    A: 물론입니다. 건강한 성견은 헌혈 프로그램의 도너가 될 수 있으며, 헌혈 시 무료 검진 등 혜택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무리 코멘트

강아지 혈액형은 사람보다 복잡할 수 있지만, 수혈 안전과 헌혈 활용을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입니다. 특히 DEA‑1 음성 개는 생명을 살리는 ‘진정한 도너’가 될 수 있죠. 반려견의 혈액형을 미리 확인해두면, 혹시 있을 위급상황에도 침착히 대응할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