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 기립성 저혈압, 집에서 하는 3단계 교정 루틴

by 투투정 2025. 11. 7.
반응형

노인 기립성 저혈압, 집에서 하는 3단계 교정 루틴 관련 사진

 

 

겨울철이나 몸이 약해지는 시기, 어르신들이 자주 겪는 증상 중 하나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갑자기 눈앞이 캄캄해지고 어지러운 느낌입니다. 이 현상을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하며, 단순한 피로나 빈혈이 아니라 혈압 조절 기능이 늦게 반응하는 문제입니다.

 

특히 고혈압약 또는 심부전/부종 관련 약을 복용 중인 분, 겨울철 활동량이 줄어든 분, 그리고 수분 섭취가 적은 분에게서 기립성 저혈압이 자주 발생합니다. 방치하면 낙상, 골절, 뇌진탕 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관리가 필요합니다.


1. 기립성 저혈압이란?

기립성 저혈압은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일어날 때 혈압이 순간적으로 떨어져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이때 뇌가 일시적으로 산소 공급을 덜 받게 되어 어지럽고, 몸이 휘청거리거나 심하면 쓰러질 수 있습니다.

 

정의 기준

  • 일어선 후 **수축기 혈압 20mmHg 이상 감소**
  • 혹은 **이완기 혈압 10mmHg 이상 감소**

가장 위험한 문제는 어지러움 자체가 아니라 넘어짐(낙상)입니다.


2. 초기 증상과 위험 신호

초기 증상

  • 눈이 잠깐 흐릿해짐
  • 귀에서 웅 하는 소리가 들림
  • 다리에 힘이 순간적으로 빠짐
  • 머리가 ‘확’ 무거워지는 느낌

위험 신호 (즉시 병원 필요)

  • 어지러움이 1분 이상 지속
  • 말이 어눌함 / 반응 느림
  • 한쪽 팔·다리 감각 이상
  • 실신 또는 쓰러짐

이 단계는 뇌졸중과 감별이 필요하므로 **119 또는 응급실**로 이동해야 합니다.


3. 왜 발생할까? (대표 원인 4가지)

  • 수분 부족 – 물을 적게 마시면 혈액량 감소
  • 근육량 감소 – 특히 허벅지 & 엉덩이 근육 약화 시 혈류 펌프 기능 저하
  • 고혈압약·이뇨제 복용 – 혈압 및 수분 조절 작용 영향
  • 오래 누워있거나 활동량 감소

즉, 해결 방향은 수분·염분 균형 회복 + 하체 혈류 강화입니다.


4. 집에서 할 수 있는 3단계 교정 루틴

① 일어날 때의 자세 바꾸기

  1. 누워 있다면 먼저 옆으로 돌아 눕기
  2. 팔의 힘을 이용해 천천히 상체를 세우고 **5초 정지**
  3. 두 다리를 바닥에 내리고 **다시 5초 정지**
  4. 그 다음 **천천히 일어서기**

→ 이 10초가 낙상 사고를 **90% 이상 예방**합니다.

② 하루 10분 하체 펌프운동

허벅지·엉덩이 근육은 혈액을 위로 올려주는 **자연 펌프**입니다.

  • 계단 오르기 5~10분 (천천히, 손잡이 잡기)
  • 의자에서 천천히 앉았다 일어나기 10~15회

③ 수분·염분 섭취 균형 맞추기

  • 물을 한 번에 많이 X → 한 모금씩, 자주
  • 국물 위주의 식사 X → 반찬 중심
  • 이뇨제 복용 중이면 주치의와 **섭취량 상담**

5. 1주 실천 루틴표

요일 실천 내용
일어나기 10초 규칙 적용 + 물 3~4모금씩
의자 스쿼트 10회 × 2세트
계단 오르기 5분
종아리 스트레칭 + 무릎 걷기
소량 수분 섭취 리듬 점검
실내 산책 10~15분
휴식 + 심호흡 10회

6. 절대 피해야 할 행동

  • 갑자기 일어나기
  • 물을 한꺼번에 벌컥 마시기
  • 국물 위주 식사로 수분 과잉
  • 운동 없이 누워만 있기

작은 습관 하나가 **낙상·골절을 막는 가장 확실한 예방**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