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가 있어도 술을 완전히 끊기는 어렵습니다. 식사 자리에 따라, 모임에서, 퇴근 후 가볍게 한 잔이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이렇게 질문합니다.
“당뇨인데 술 마셔도 괜찮을까요?”
답은 “마실 수는 있지만, 정확히 알고 마셔야 한다” 입니다. 술 자체가 단순히 알코올 한 잔이 아니라, 혈당 조절에 복합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1. 알코올이 혈당에 영향을 주는 방식
술을 마시면 알코올은 간에서 우선적으로 분해됩니다. 이때 간은 평소처럼 혈당을 유지하기 위한 포도당 방출을 멈추게 됩니다.
즉, 술을 마시면 간이 혈당 유지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 식후에는 혈당이 더 천천히 떨어지거나
- 공복 상태에서는 혈당이 위험할 정도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당뇨 환자분들이 식사도 제대로 못 하고 술만 마셨을 때 저혈당 증상을 겪습니다.
2. 당뇨 환자가 술을 마실 때 위험해지는 상황
특히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위험은 더 커집니다.
- 공복 상태에서 음주
- 식사량이 평소보다 적은 날
- 술만 마시고 안주 없이 진행될 때
- 인슐린이나 당뇨약(특히 설포닐우레아 계열)을 복용 중일 때
이 경우, 야간 저혈당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잠든 동안 발생하면 몸이 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3. 술 종류별 혈당 영향
| 술 종류 | 혈당 영향 | 특징 |
|---|---|---|
| 막걸리 | ↑ 매우 상승 | 탄수화물+당분 함유 높음 |
| 맥주 | ↑ 상승 | 곡물 발효 → 혈당 천천히 상승 |
| 소주 | 중간 | 단맛 첨가 여부에 따라 차이 큼 |
| 와인(드라이) | ↓ or 유지 | 당분 적고 천천히 흡수 |
| 위스키/보드카 | ↓ 저혈당 위험 | 혼합음료(콜라/사이다) 주의 |
즉, **막걸리·과일주·단맛 소주 →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드라이 와인 or 순수 증류주 + 물** 조합이 가장 안전합니다.
4. 당뇨 환자의 ‘현명한 음주 원칙’
술을 마신다면 아래 원칙을 반드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공복 상태에서 절대 마시지 않기
- 단백질 위주 안주 선택 (고기·두부·달걀)
- 물 1잔 + 술 1잔 번갈아 마시기
- 달달한 안주 (전, 과일, 떡, 튀김) 피하기
- 주량의 70% 이하에서 마시기
이 원칙만 지켜도 **술로 인해 혈당이 크게 흔들리는 상황을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5. 저혈당 증상과 대처법
저혈당이 오면 신호가 분명합니다.
- 손 떨림
- 식은땀
- 심장이 빨리 뜀
- 갑자기 말이 빨라지거나 느려짐
- 얼굴이 창백해짐
즉시 대처법:
- 사탕 2~3개 or 투명 음료(사이다+콜라 제외, 포도당 음료 OK)
- 10분 후 증상 확인 → 유지되지 않으면 1회 추가
특히 **술 마신 밤에는 자기 전 간단한 요기**가 중요합니다. (예: 삶은 계란 1개, 두유 1팩 등)
정리
당뇨라고 해서 술을 ‘절대’ 마시면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모르는 상태에서 마시는 술은 혈당을 크게 흔듭니다.
술은 적당히, 식사와 함께, 수분을 챙기며, 천천히. 이 네 가지만 기억하셔도 혈당은 훨씬 안정적으로 관리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