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벌이부부가 연말정산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누가 어떤 공제를 가져가야 세금이 가장 많이 줄어드는가”입니다. 특히 두 사람의 급여 차이가 큰 경우, 같은 금액을 사용했어도 누가 처리하느냐에 따라 공제 효과가 2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득차가 큰 맞벌이부부가 반드시 알아야 할 연말정산 핵심 전략을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1. 왜 맞벌이는 ‘소득 차이’가 절세의 핵심일까?
연말정산의 공제·세액공제 효과는 소득이 높은 사람일수록 커집니다. 세율 구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절세 효과 |
|---|---|---|
| 1,400만원 이하 | 6% | 공제 효과 낮음 |
| 1,400~5,000만원 | 15% | 보통 |
| 5,000~8,800만원 | 24% | 효과 ↑ |
| 8,800~1.5억 | 35% | 효과 매우 큼 |
2. 최대 절세는 “누가 공제할지”에서 결정된다
맞벌이는 아래 기준을 통해 공제 대상자를 분배하면 절세 효과가 크게 올라갑니다.
① 신용·체크카드 공제는 소득이 낮은 사람이 유리
카드 공제는 총급여 25% 초과 사용분만 공제되므로 총급여가 적은 사람이 조건을 달성하기 훨씬 쉽습니다.
- 총급여가 3천 → 25%는 750만
- 총급여가 7천 → 25%는 1,750만
따라서 카드 사용액이 비슷하다면 **총급여 낮은 사람 명의로 몰아서 쓰는 것이 유리**합니다.
② 의료비는 소득 높은 배우자가 더 유리
의료비 세액공제는 산출세액에서 직접 차감되기 때문에 세율이 높은 사람이 받을수록 효과가 큽니다.
- 총급여 높은 사람 → 24~35% 구간 → 절세효과 큼
- 총급여 낮은 사람 → 6% 구간 → 효과 작음
③ 교육비는 기본적으로 지출한 사람 공제
다만 대학생 자녀는 ‘부모 중 소득이 높은 사람’이 유리합니다.
④ 기부금은 무조건 소득 높은 사람이 유리
기부금은 세액공제 효과가 크고 세율구간 영향이 커서 소득 높은 사람이 공제해야 절세효과가 배 이상 차이납니다.
3. 부양가족 공제, 누가 받을지에 따라 세금이 크게 달라진다
맞벌이는 부양가족(부모·자녀) 공제 선택도 절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① 부모님 공제는 소득 높은 배우자가 받는 게 기본
부모님 양쪽 모두 가능하나, 소득 높은 사람이 받으면 절세효과가 극대화됩니다.
- 근로소득만 있어도 연 100만원 이하여야 공제 가능
- 부모님은 선택해서 한 명만 공제 가능
② 자녀 공제는 1명만 신청 가능
아동·청소년의 경우, 자녀 공제를 누가 받는지에 따라 연간 세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소득차 큰 맞벌이를 위한 연말정산 핵심 전략 6가지
① 고소득자에게 몰아주기 좋은 공제
- 의료비
- 기부금
- 보험료
- 장애인공제
- 부양가족 공제
② 저소득자에게 몰아주기 좋은 공제
- 신용·체크카드 공제
- 대중교통 공제
- 도서·공연·문화비
③ 월세 세액공제는 소득수준 따라 다름
월세 세액공제는 총급여 7천만원 이하만 가능하므로 조건이 되는 사람에게 몰아주는 것이 정답입니다.
④ 연금저축·IRP는 절세에 가장 강력
소득 높은 배우자가 절세효과가 크며 연간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⑤ 신용카드 맞벌이는 “각자 더 유리한 방식” 선택
한쪽으로 몰아도 되고, 각자 공제해도 되므로 5년 동안 카드사용 패턴을 보고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⑥ 공제항목 겹치지 않도록 조정
부양가족·의료비·교육비 등은 중복 공제가 안 되므로 부부가 역할을 나누어 공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5. 실전 사례로 이해하는 최적 분배 전략
| 구분 | 남편 | 아내 |
|---|---|---|
| 총급여 | 7,000만원 | 3,000만원 |
| 의료비 | 300만원 지출 | 50만원 지출 |
| 카드 사용 | 1,800만원 | 1,200만원 |
이 경우 최적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비 → 남편 (세율구간 높아 절세효과 큼)
- 카드 공제 → 아내 (총급여 낮아 25% 초과 달성 쉬움)
- 기부금 → 남편 (세액공제 효과 큼)
- 교육비 → 지출한 사람 기준
6. 연말정산 제출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부양가족 자료제공 동의 완료 여부
- 카드 공제 25% 초과 여부 체크
- 의료비 누락 자료 추가 제출
- 중복 공제되지 않도록 조정
- 월세 공제는 조건 충족 여부 체크
- 각자 공제해야 할 항목 정리
7. 마무리 — 맞벌이는 “누가 공제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
맞벌이부부, 특히 소득차가 큰 맞벌이는 공제 항목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따라 절세효과가 극적으로 달라집니다.
정리하면 아래 조합이 기본 전략입니다.
- 의료비·기부금·보험료 → 소득 높은 사람
- 신용·체크카드 → 소득 낮은 사람
- 부양가족 공제 → 소득 높은 사람
- 월세 공제 → 조건 충족되는 사람
올해는 두 분의 지출 패턴과 소득 구간을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공제를 배분해보시기 바랍니다. 작은 차이가 큰 절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아래글 클릭!
연말정산 환급금 최대화|맞벌이 부부가 실제로 세금 줄이는 방법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 1년간 납부한 세금을 다시 계산해 차액을 돌려받는 연말정산 환급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많은 맞벌이 부부가 “왜 우리는 매번 환급이 적을까?” 혹은
heejae1212.com
아는 사람만 챙기는 맞벌이 절세방법|연말정산에서 손해 보지 않는 법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 맞벌이 부부라면 연말정산에서 반드시 아셔야 하는 절세 포인트가 있습니다. 두 사람이 모두 소득이 있다 보니, 부양가족 공제나 신용카드 공제처럼
heejae1212.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