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병 — 협심증과 심근경색, 어떻게 다를까?

by 투투정 2025. 10. 5.
반응형

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병 — 협심증과 심근경색, 어떻게 다를까? 관련 사진

 

가슴 통증이 느껴질 때, 병원에서 가장 먼저 시행하는 검사가 바로 심전도(EKG/ECG) 검사입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해 심장의 리듬과 혈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검사로, 협심증심근경색 같은 치명적인 심장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심전도로 정말 심장병을 구분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갖습니다. 오늘은 심전도 검사로 알 수 있는 주요 질환과 특히 헷갈리기 쉬운 협심증 vs 심근경색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1. 심전도(EKG) 검사란 무엇인가요?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 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그래프로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심장의 리듬, 전도 속도, 전기 신호의 형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부정맥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
  • ⚡ 심근 허혈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일시적으로 부족한 상태)
  • 🩸 심근경색 (심장 근육이 혈류 차단으로 손상된 상태)
  • 📉 심장 전도 장애 (전기 신호 전달 이상)
  • 🫀 전해질 이상 또는 약물 영향에 의한 리듬 변화

2. 심전도로 알 수 있는 주요 심장질환 💡

질환명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특징 설명
부정맥 리듬 불규칙, 심박수 과속 또는 저하 심장의 박동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나타나는 경우
심방세동 불규칙한 RR 간격, P파 소실 심방이 무질서하게 수축해 혈류 정체 발생
협심증 일시적 ST분절 하강 심근으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부족해 통증 발생
심근경색 ST분절 상승 또는 Q파 출현 혈관이 막혀 심근이 손상된 상태로, 응급 치료 필요
심실비대 QRS파의 폭 증가 심실 근육이 두꺼워져 전기 신호 전달 이상 발생

3.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차이 ⚠️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모두 심장 근육에 산소가 부족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두 질환은 원인과 진행 정도, 심전도 소견이 크게 다릅니다.

구분 협심증 심근경색
원인 관상동맥 일시적 수축 또는 부분적 협착 관상동맥 완전 폐색
통증 지속 시간 5분 내외 (휴식 또는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완화) 30분 이상 지속 (약으로 완화되지 않음)
심전도 소견 ST분절 하강, T파 역전 ST분절 상승, 병적 Q파 출현
혈액 검사 정상 심근효소(CK-MB, Troponin) 상승
치료 방법 약물치료, 스텐트 시술 응급 스텐트 시술, 혈전 용해제 투여, 수술 치료

4. 심전도로 협심증과 심근경색 구분하기 🔍

협심증의 경우, 심근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상태로 심전도에서는 ST분절 하강(ST depression)이나 T파 역전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증상이 사라지면 심전도도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반면 심근경색은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된 상태로, 심전도에서 ST분절 상승(ST elevation)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병적 Q파(pathological Q wave)가 생깁니다. 이는 심근이 이미 괴사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 심전도 검사 외 추가 진단 방법 🧪

  • 🧬 **심근효소 검사** — 혈액 내 트로포닌(Troponin), CK-MB 수치로 심근 손상 여부 확인
  • 🩻 **심장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장의 구조 및 수축 기능 평가
  • 🩸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 혈관 협착 또는 폐색 여부 확인

6. 결론 💬

심전도 검사는 간단하지만 심장 질환의 가장 빠르고 정확한 1차 진단 도구입니다. 협심증은 경고 신호이며, 심근경색은 응급상황입니다. 가슴이 조이거나 답답한 통증이 반복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심전도 검사를 포함한 심장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심장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평소 관리와 조기 검진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