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대표 소비지원제도, 바로 온누리상품권입니다. 최근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이 등장하면서 종이형과의 차이점을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모바일과 종이 온누리상품권의 차이, 장단점, 구매 방법, 할인 혜택까지 한눈에 비교해보겠습니다.
1.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행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관리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상품권입니다. 전통시장, 상점가, 지역 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은 최대 1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종이형: 실제 상품권 형태로 전통시장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
- 모바일형: 스마트폰 앱(농협 올원뱅크, 체크페이, 티머니페이 등)을 통해 QR결제 가능
- 카드형: 체크카드처럼 사용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 앱에서 발급
2. 모바일 vs 종이 온누리상품권 비교
두 상품권 모두 전통시장 소비 촉진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편의성과 사용처**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 표로 정리한 비교 내용을 보면 어떤 형태가 본인에게 더 맞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구분 |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 종이 온누리상품권 |
---|---|---|
구매 방식 | 앱(농협 올원뱅크, 체크페이, 티머니페이 등)에서 온라인 구매 | 은행 방문(농협·우리·신한 등) 또는 전통시장 내 판매처에서 구매 |
결제 방법 | QR코드 결제 | 직접 제출 (현금처럼 사용) |
할인율 | 최대 10% (월 100만 원 한도) | 최대 10% (월 100만 원 한도) |
사용 편의성 | 스마트폰만 있으면 간편 사용 | 분실 위험 있음, 휴대 불편 |
잔액 처리 | 자동 차감 (부분 결제 가능) | 잔액 반환 불가 (일부 가맹점만 가능) |
사용처 | 전통시장 + 모바일 가맹점 | 전통시장, 상점가, 일부 지역점포 |
유효기간 | 5년 | 5년 |
3.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의 장점
- 언제 어디서나 구매 가능 — 은행 방문 없이 앱에서 바로 결제
- 분실 걱정 없음 — QR코드로 결제, 종이 보관 필요 없음
- 잔액 자동 관리 — 여러 번 나눠서 결제 가능
- 비대면 결제 가능 — 코로나 이후에도 꾸준히 인기 상승
4. 종이 온누리상품권의 장점
- 스마트폰이 없어도 사용 가능
- 현금 결제 선호 매장에서도 수용도 높음
- 시니어층 친숙도 높음 — 특히 전통시장에서 여전히 선호
5.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
온누리상품권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할인율은 동일하지만, 결제 방식에 따라 절차가 다르므로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구분 | 구매 방법 | 비고 |
---|---|---|
모바일형 | 농협 올원뱅크, 티머니페이, 체크페이 앱 접속 → 온누리상품권 선택 → 계좌 결제 | 즉시 충전 가능 |
종이형 | 농협·신한·우리은행 등 지정은행 창구 방문 후 신분증 지참 구매 | 1만, 5만, 10만 원권 선택 가능 |
6. 어떤 상품권이 더 유리할까?
결론적으로 편의성과 활용도를 중시한다면 모바일형이, 현금 감각이나 디지털 기기 사용이 불편한 경우에는 종이형이 유리합니다.
- ✅ 젊은층·직장인 → 모바일형 추천 (간편 결제, 잔액 관리 용이)
- ✅ 시니어층·현금거래 선호자 → 종이형 추천 (익숙함, 전통시장 결제 편리)
- ✅ 가맹점 다닐 계획 많다면 → 두 형태 병행 사용도 가능
7. 결론
온누리상품권은 어떤 형태든 전통시장 활성화를 돕는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소비입니다. 단, 본인 생활패턴에 맞는 형태를 선택해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활용이 익숙하다면 모바일형, 전통시장 중심이라면 종이형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