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MZ세대 사이에서는 ‘에겐남’, ‘테토녀’ 같은 신조어가 연애 심리와 성향을 분석하는 코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이 단어들은 사실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호르몬 기반 연애 심리 유형, 즉 ‘에겐남’, ‘에겐녀’, ‘테토남’, ‘테토녀’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성향을 대표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에겐남 · 에겐녀 : 감정 중심의 공감형 인간
‘에겐’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에서 파생된 용어로, 감정, 공감, 배려 중심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 에겐남은 감정적으로 섬세하고 공감 능력이 뛰어나며, 연인의 감정을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 에겐녀는 상대의 말과 표정을 잘 읽고,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관계의 조화와 안정을 중요시합니다.
에겐 유형은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데 탁월하지만, 때로는 지나치게 감정에 휘둘리거나 결정을 미루는 경향이 있어 주도적인 연애를 원하는 사람들과는 다소 충돌할 수 있습니다.
2. 테토남 · 테토녀 : 이성 중심의 추진형 인간
‘테토’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에서 파생된 용어로, 주도성, 추진력, 논리 중심의 성향을 지닌 사람을 의미합니다.
- 테토남은 자기주장이 뚜렷하고, 연애에 있어서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타입입니다. 빠른 판단력과 강한 목표지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테토녀는 독립적이고 현실적인 성향을 가지며, 감정보다는 상황이나 결과를 중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토 유형은 연애에서도 능동적이고 추진력이 강하지만, 상대의 감정을 놓치거나 감정 표현에 서툴 수 있어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3. 왜 MZ세대는 이런 유형에 주목할까?
MZ세대는 연애에서도 자기 자신을 잘 이해하고, 상대와의 궁합을 분석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MBTI, 애착유형 테스트에 이어 이제는 호르몬 기반의 성향 구분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연애는 단순히 ‘좋아하는 감정’만으로는 오래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각자의 성향을 이해하고, 상대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이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또한 ‘에겐’과 ‘테토’ 유형은 단순한 성별 구분이 아니라 성향에 따라 남녀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정 중심의 남성(에겐남)과 추진력 있는 여성(테토녀)이 만나더라도 서로를 이해하고 조율할 수 있다면 이상적인 커플이 될 수 있습니다.
4. 네 가지 유형의 특징 한눈에 보기
유형 | 기반 호르몬 | 주요 특징 | 연애 스타일 |
---|---|---|---|
에겐남 | 에스트로겐 | 공감, 배려, 감정중심 | 감성적이고 섬세한 표현을 선호 |
에겐녀 | 에스트로겐 | 감성적, 관계중심, 섬세함 | 상대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 |
테토남 | 테스토스테론 | 주도성, 추진력, 논리적 사고 | 이성적이며 목표 중심적 접근 |
테토녀 | 테스토스테론 | 현실적, 독립적, 결단력 | 자기주도적이며 감정보다 상황 중심 |
5. 내 연애 유형은 무엇일까?
내가 감정에 민감하고 상대방의 기분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편이라면 ‘에겐’ 유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상황을 빠르게 판단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며 연애를 주도하는 편이라면 ‘테토’ 유형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네 가지 유형은 사람을 단정 짓는 틀은 아닙니다. 누구나 상황에 따라 감성적일 수도, 이성적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연애에서 어떤 역할을 자주 맡는지를 이해하면 훨씬 더 건강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마무리하며
에겐남, 테토녀와 같은 연애 심리 유형은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서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빠르게 변하는 연애 트렌드 속에서, 서로 다른 성향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능력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당신은 어떤 유형이신가요? 그리고 당신의 연인은 어떤 스타일인가요? 지금부터라도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조율해나가며 더욱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보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