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 중에는 면역 기능이 평소보다 약해져 감염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독감(인플루엔자)**에 걸리면 폐렴, 고열, 탈수증, 조산 위험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산부인과, 질병관리청, WHO 모두 임산부에게 독감 예방접종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요한 질문은 하나입니다.
“임산부는 **임신 몇 주부터** 독감 예방접종을 맞아도 안전할까?”
1. 임산부 독감 예방접종은 언제부터 가능할까?
정답 → 임신 주수 상관없이, 임신이 확인된 이후부터 접종 가능합니다.
즉, 임신 초기(1~12주)도 접종 가능합니다.
이는 독감 백신이 '불활성화 백신(사백신)'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불활성화 백신은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죽은 항원 성분만 포함**되어 있어 태아에게 직접 감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 미국 CDC, WHO, 대한산부인과학회 **공식 권고** →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임산부는 독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왜 오히려 임산부에게 접종이 중요한가?
- 임신 중 면역력이 약해져 독감 감염 시 **합병증 위험 증가**
 - 독감으로 **고열이 지속되면 태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폐렴, 탈수, 산소포화도 감소 위험이 커짐
 - 임산부가 독감에 걸리면 **신생아 감염 가능성 증가**
 
또한 임산부가 예방접종을 하면 태반을 통해 항체가 태아에게 전달되어 출생 후 6개월 간 신생아도 보호받게 됩니다.
3. 3가 vs 4가 백신, 임산부는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종류 | 예방 바이러스 수 | 임산부 접종 가능? | 
|---|---|---|
| 3가 백신 | A형 2종 + B형 1종 | 가능 | 
| 4가 백신 | A형 2종 + B형 2종 | 권장 | 
실제 임산부 대상 산부인과 **대부분 4가 백신을 우선 권장**합니다.
4. 임신 주수별 접종 팁
- 임신 초기 (1~12주) → 접종 가능, 단 감기/발열 시 며칠 연기
 - 임신 중기 (13~27주) → 면역·신체 컨디션 안정기로 **가장 권장되는 접종 시기**
 - 임신 후기 (28주~출산전) → 출산 전 접종 시 **신생아에게 항체 전달 효과 극대화**
 
5. 접종 후 주의사항
- 접종 당일 **과격한 활동 피하기**
 - 충분한 수분 섭취
 - 주사부위 약한 통증·미열은 정상 → **찜질팩 or 미온찜**
 - 38도 이상 발열 지속 시 → 산부인과 문의
 
6. Q&A
Q. 임신 중 백신 성분이 태아에게 전달되나요?
A. 바이러스 자체는 전달되지 않으며, **유익한 항체만 전달**됩니다.
Q. 부작용이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A. 대부분 가벼운 근육통/피로감 수준이며, 심한 부작용은 매우 드뭅니다.
Q. 수유 중에도 맞아도 되나요?
A. 네. **수유부도 안전하게 접종 가능**합니다.
7. 핵심 요약
✅ 임산부 독감 예방접종은 **임신 초기 포함 전 주수 안전** ✅ 4가 백신이 **예방 범위 더 넓음** ✅ 접종으로 **태아·신생아까지 보호 효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