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내] 가까운 정식 수거·재활용 업체/정비소로 인계하세요. 무허가 수거·불법 방치 시 과태료 등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에서 배터리는 크게 ① 내연차 12V 납산 배터리와 ② 전기차(HEV·PHEV·BEV) 구동용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분됩니다. 두 유형 모두 유해물질 또는 화재 위험이 있어 안전규정과 절차에 따라 정식 인계·재활용해야 합니다. 본 글은 개인 차량 소유자 기준으로 보관→운반→인수→재활용 전 과정을 실전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1. 어떤 배터리가 ‘폐 배터리’인가요?
| 유형 | 특징 | 위험요소 | 대표 처리경로 | 
|---|---|---|---|
| 12V 납산(Starter) | 납판+황산 전해액. 대부분의 내연차·일부 EV 보조전원 | 산 누출(부식), 중금속 오염 | 정비소·배터리 대리점·지자체 재활용센터 인계 → 제련·정제 | 
| EV 구동용 리튬이온 | 모듈/팩 구조, BMS 포함. 대용량·고전압 | 열폭주 화재, 감전, 물리적 손상 시 위험 증가 | 제조사·공식 서비스센터·허가 재활용업체 인계 → 재사용/재활용 | 
※ 파손·침수·충격 이력 있는 배터리는 즉시 사용 중지하고 전문가 진단 후 이송해야 합니다.

2. 왜 ‘안전 처리’가 필요한가요? (위험과 법적 책임)
- 환경오염: 납·전해액 유출, 리튬이온 셀 파손 시 유기전해액 누출 → 토양·수질 오염 가능.
 - 화재·폭발: 쇼트·과열·충격 시 열폭주 위험. 특히 충전 잔량이 남은 EV 배터리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법적 책임: 무단 투기·방치는 불법입니다. 허가받은 업체 또는 제조사·정비망을 통한 인계가 원칙입니다.
 
3. 임시 보관 요령 (집·차고)
- 통풍·그늘·건조한 곳에 보관합니다. 직사광선·고열(40℃↑) 회피.
 - 불연성 평면 위에 놓고, 낙하·전도 방지턱을 둡니다.
 - 12V 납산은 누액 확인 후, 필요시 흡수제(모래·흡착포)를 준비합니다.
 - EV 배터리는 팩 외부 손상·팽창·이상 발열이 있으면 접근 금지 후 전문 인력 호출.
 - 금속 물체와 단자(극) 접촉 금지. 단자 절연 캡 또는 절연테이프로 보호합니다.
 - 어린이·반려동물 접근 차단. 흡연·화기 엄금.
 
4. 운반 시 주의 (개인 자차·택배 금지)
- 12V 납산: 누액 방지 트레이에 넣고 수평 유지, 단자 절연. 차량 실내 탑재 시 고정 필수.
 - EV 배터리: 고전압·중량물로 개인이 운반하지 않고 제조사/공식센터 또는 허가 운반업체에 예약합니다.
 - 택배·일반 화물로 무단 발송 금지(위험물 규정 위반).
 

5. 어디에 맡기면 되나요? (정식 인계처 선택)
| 인계처 | 대상 배터리 | 특징/준비물 | 
|---|---|---|
| 정비소·배터리 대리점 | 12V 납산 | 교환 시 구형 회수가 일반적. 영수증·인수증 보관. | 
| 제조사·공식 서비스센터 | EV 구동용 | 차대번호(VIN)·정비기록 필요. 견인·전문 인력이 처리. | 
| 지자체·공공 재활용센터 | 지역별 상이 | 생활폐기물과 구분. 사전 문의로 접수 가능 여부 확인. | 
| 허가 재활용업체(수거예약) | 납산·리튬이온 | 사업장·개인 모두 가능(업체별 정책 확인). 계약서·인계증명 보관. | 
※ 차량 판매·폐차 시에는 폐차장/제조사와 연계하여 배터리를 함께 인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재활용은 어떻게 이뤄질까요? (공정 흐름)
6-1. 12V 납산
- 외장 파쇄 → 납판·플라스틱·전해액 분리
 - 납 제련·정제 → 신품 배터리 원료로 재투입
 - 전해액 중화 처리 → 안전하게 배출
 
6-2. EV 리튬이온
- 팩 분해 → 모듈·셀 단위 분리 → 방전·안전화
 - 재사용(ESS·정비용) 적합성 평가 또는 파쇄·습식/건식 공정
 - 니켈·코발트·리튬·구리 회수 → 2차전지 원료로 재활용
 
7. 비용·보상(보증금/매입)과 서류
- 납산 배터리: 보증금 제도·고철 매입가로 소액 환급 또는 무상 회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EV 배터리: 잔존가치(SoH)·상태에 따라 무상 인계, 반납 보상, 재사용 매입 등 정책이 상이합니다.
 - 인계 시 인수증/거래명세서를 꼭 보관하세요(향후 분쟁·보험·폐차 절차에 유용).
 
8. 절대 금지되는 행위
- 무단 투기·방치, 하천·산지·생활폐기물과 혼합 배출
 - 충전·분해·침수 배터리의 임의 수리/절개
 - 고온 열원 근접 보관, 금속 물체 접촉으로 단락 유발
 - 택배·일반 화물로 임의 배송(위험물 규정 위반)
 
9. 5분 체크리스트 (개인 소유자용)
| 체크 | 내용 | 메모 | 
|---|---|---|
| 임시보관 | 그늘·통풍·건조, 단자 절연, 화기 엄금 | □ 완료 | 
| 운반 계획 | 12V: 수평·고정 / EV: 공식센터 예약 | □ 완료 | 
| 인계처 | 정비소·대리점·제조사·허가업체 중 선택 | □ 완료 | 
| 서류 | 인수증·명세서 수령 및 보관 | □ 완료 | 
| 주변 안전 | 가정 내 어린이·반려동물 접근 차단 | □ 완료 | 
10. 자주 묻는 질문(FAQ)
Q1. 12V 배터리는 집에서 분리수거로 내면 되나요?
아닙니다. 일반 분리수거 대상이 아니며, 정비소·배터리 취급점·지자체 재활용센터 등에 직접 인계해야 합니다.
Q2. 전기차가 침수·사고났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즉시 대피 후 제조사 긴급출동/공식센터에 연락하고, 전문 견인을 요청합니다. 자체 점검·분해는 매우 위험합니다.
Q3. EV 배터리를 ESS로 재사용하고 싶어요.
잔존용량·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허가 시설에서만 가능합니다. 임의 분해·개조는 불법·위험입니다.
Q4. 배터리에서 액체가 샙니다(12V).
산 누출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호장갑·보안경을 착용하고 흡수제(모래 등)로 주변 확산을 막은 뒤, 정비소 또는 수거업체에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Q5. 인계 비용이 드나요?
12V는 대부분 무상 회수 또는 소액 환급이 일반적입니다. EV는 제조사 정책·상태에 따라 다릅니다(사전 문의 필수).
TIP · 차량을 폐차하거나 중고로 판매할 때는 배터리 인계·책임 소재를 계약서에 명확히 표기하세요.
요약 (한눈에 보기)
- 보관: 통풍 그늘, 단자 절연, 화기 엄금.
 - 운반: 12V는 수평·고정, EV는 반드시 공식센터/허가업체.
 - 인계: 허가받은 경로로만 처리하고, 인수증을 보관.
 - 재활용: 납·리튬·니켈 등 자원 회수로 환경 보호.
 - 금지: 무단 투기, 임의 분해, 택배 발송 금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