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 주식을 시작하면 헷갈리는 단어가 정말 많습니다. 매수, 매도는 알겠는데 ‘시가’, ‘종가’는 뭐고, ‘상한가’, ‘하한가’, ‘시간외 시장’은 또 뭘까요? 단어 하나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면 잘못된 판단으로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가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할 핵심 용어 15가지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거래 흐름 속에서 이 용어들이 어떻게 실제로 쓰이는지 예시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처음부터 탄탄하게 기초를 다지고 싶다면 이 글이 최고의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1. 꼭 알아야 할 주식 기초 용어 15가지
✅ 매수(Buy)와 매도(Sell)
- 매수: 주식을 사는 것
- 매도: 주식을 파는 것
- ✔ 내가 사려는 가격 = 매수호가, 내가 팔려는 가격 = 매도호가
✅ 시가, 종가, 고가, 저가
- 시가: 하루 중 가장 먼저 형성된 가격
- 종가: 그날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
- 고가: 하루 중 가장 높았던 가격
- 저가: 하루 중 가장 낮았던 가격
✅ 상한가, 하한가
- 상한가: 하루 동안 오를 수 있는 최대치
- 하한가: 하루 동안 떨어질 수 있는 최대치
- ✔ 한국 증시 기준 ±30%
✅ 호가
- 호가: 시장에 제시된 사고팔기 위한 가격
- 매수호가: 이 가격에 사고 싶다
- 매도호가: 이 가격에 팔고 싶다
✅ 체결
- 매수자와 매도자의 가격이 일치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
✅ 주문 종류
- 시장가 주문: 현재 가능한 가격으로 바로 체결
- 지정가 주문: 내가 지정한 가격에만 체결
- 조건부 주문: 조건이 만족될 때만 체결
✅ 시가총액
- 주가 × 발행주식 수 = 기업의 전체 가치
- ✔ 대형주/중형주/소형주 분류 기준
✅ PER, PBR
- PER: 주가수익비율 (낮을수록 저평가)
- PBR: 주가순자산비율 (1 이하 = 자산보다 저평가)
✅ 배당
- 기업 이익을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것
- ✔ 분기/연 단위, 배당주 투자에 중요
✅ ETF (상장지수펀드)
- 여러 종목을 묶은 펀드 형태로 거래
- ✔ 초보자에게 적합, 리스크 분산
✅ 시간외 시장
- 정규장: 09:00~15:30
- 시간외 종가: 15:40~16:00 (종가로만 거래)
- 시간외 단일가: 16:00~18:00 (10분 단위 체결)
✅ 공매도
- 주식을 빌려서 파는 것 → 하락에 베팅
- ✔ 공매도 증가 시 하락 가능성 ↑
✅ 유상증자 / 무상증자
- 유상증자: 돈 받고 주식 발행
- 무상증자: 기존 주주에게 무상 주식 배정
✅ 거래량
- 일정 시간 동안 거래된 주식 수
- ✔ 거래량 급증 = 상승/하락 전조
✅ 분할매수 / 분할매도
- 여러 번 나눠 사고팔기
- ✔ 리스크 분산 + 평단가 조절
2. 실제 거래 흐름 속 용어의 쓰임
예시: A주식 전일 종가 10,000원
- 시가: 10,200원
- 고가: 10,800원
- 저가: 9,700원
- 종가: 10,100원
- 투자자 B는 시간외 단일가에 10,200원 매수
- 투자자 C는 정규장 중 10,300원에 매도 등록
- PER 8인 종목에 분할매수 시작
- 무상증자 1:1 발표 → 100주 → 200주
이처럼 거래 현장에서는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수익률을 좌우합니다.
3. 시장 원칙 이해하기 – 가격우선·시간우선
✅ 가격우선 원칙
- 더 높은 매수호가가 먼저 체결
- 더 낮은 매도호가가 먼저 체결
✅ 시간우선 원칙
- 같은 가격이면 먼저 주문한 사람이 우선
✔ 이 두 가지 원칙은 시장의 공정성과 유동성을 위한 필수 시스템입니다.
결론 – 기초 용어를 알면 시장이 보인다
주식시장은 단어로 움직이는 세계입니다. 용어 하나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투자 판단은 달라지고, 시장의 흐름을 읽는 눈이 생깁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용어들은 모두:
- 실제 거래에 반드시 등장하고
- 수익과 손실에 직결되는 개념들입니다.
이제 용어를 익혔다면, 시장을 제대로 볼 준비가 된 것입니다.
주식은 정보 싸움이고, 정보는 단어에서 시작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