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당관리를 위해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받으면 가장 많이 확인하게 되는 지표가 바로 당화혈색소(HbA1c)와 eAG(평균혈당)입니다. 두 수치는 함께 제공되지만 의미가 달라 혼동하기 쉽습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eAG가 100mg/dL를 넘으면 높은 수치 아닌가?라고 생각하시지만, 이는 공복혈당과 혼동해서 생기는 오해입니다.
이 글에서는 당화혈색소가 어떤 개념인지, 왜 eAG가 함께 제공되는지, 두 지표가 어떤 방식으로 연동되는지를 정확하게 설명드립니다. 또한 정상 범위 기준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표와 함께 구성했습니다.
1. 당화혈색소(HbA1c)란 무엇인가?
당화혈색소(HbA1c)는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혈액 속 포도당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단백질)에 붙는 비율을 측정하기 때문에 단기간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혈당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식사 후 혈당이 일시적으로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변동은 HbA1c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반복된 생활습관이 전반적인 수치로 기록됩니다.

2. eAG(평균혈당)란 무엇인가?
eAG(estimated Average Glucose)는 말 그대로 최근 몇 달 동안의 평균 혈당치를 mg/dL 단위로 환산한 값입니다. HbA1c는 %로 표시되어 일반인에게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어 이를 실제 혈당 수치처럼 이해하기 쉽게 바꾼 값이 바로 eAG입니다.
예를 들어 HbA1c 5.5%는 eAG로 환산하면 약 111mg/dL 정도가 됩니다. 이는 정상 범위이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3. 당화혈색소와 eAG는 어떻게 계산될까?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eAG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AG(mg/dL) = 28.7 × HbA1c − 46.7
이 공식은 수백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예시를 보면 이해가 훨씬 쉽습니다.
- HbA1c 5.0% → eAG 약 97 mg/dL
- HbA1c 5.5% → eAG 약 111 mg/dL
- HbA1c 6.0% → eAG 약 126 mg/dL
- HbA1c 7.0% → eAG 약 154 mg/dL
4. HbA1c와 eAG 정상 기준표
두 지표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지표 | 정상 | 전단계(경계) | 당뇨 |
| 당화혈색소(HbA1c) | 4.0 ~ 5.6% | 5.7 ~ 6.4% | 6.5% 이상 |
| eAG(평균혈당) | 70 ~ 120 mg/dL | 121 ~ 140 mg/dL | 140 mg/dL 이상 |
5.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부분 (공복혈당 vs eAG)
많은 분들이 eAG값이 110mg/dL 이상 나오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는 공복혈당(FBS) 기준과 혼동해서 생기는 오해입니다.
공복혈당 정상 기준은 100mg/dL 미만이지만, eAG는 공복뿐 아니라 식후 혈당까지 모두 반영한 평균치입니다. 따라서 정상인도 eAG 100~120mg/dL 사이가 아주 흔하게 나옵니다.
즉, eAG 111mg/dL은 정상이며, 잘못된 결과가 아니라 공식에 의해 정확하게 계산된 수치입니다.
6. HbA1c와 eAG를 함께 보는 이유
둘 중 하나만 확인하는 것보다 두 지표를 함께 보면 혈당 상태를 훨씬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 HbA1c는 장기적 혈당 흐름을 보여줌
- eAG는 이를 일상적인 혈당 단위로 이해하게 도와줌
- 두 지표가 서로 어긋나면 식후 혈당 급등이나 혈당 변동성이 크다는 의미일 수 있음
특히 혈당이 정상인데도 자주 피곤하거나 손발 저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두 수치를 함께 보는 것이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혈당관리를 위해 꼭 기억해야 하는 포인트
혈당검사를 할 때 다음의 기준을 기억하면 혼동 없이 결과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공복혈당은 ‘금식 후’ 수치
- eAG는 ‘하루 전체 평균 혈당’
- HbA1c는 ‘최근 3개월 평균 혈당 지표’
- HbA1c 5.5% → eAG 약 111mg/dL = 정상
- 두 지표가 모두 정상이라면 혈당 조절은 잘 되고 있는 상태
결론적으로, HbA1c 5.5%와 eAG 111mg/dL 조합은 걱정할 이유가 전혀 없는 완벽한 정상 수치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아래글 클릭!
혈당관리 꿀팁 총정리|공복혈당·식후혈당·생활습관까지 완벽 가이드
혈당관리는 단순히 당뇨가 있는 사람만의 과제가 아니라, 현대인의 건강 전반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이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면 피로감, 식욕 변화, 면역력
heejae1212.com
아침 공복혈당이 높은 이유, 새벽현상과 피지현상 정확하게 알아보기
평소에는 혈당이 잘 유지되는데, 아침에 일어나서 공복 상태로 혈당을 측정하면 유난히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현상을 흔히 ‘새벽현상(Dawn Phenomenon)’이라고 부르며, 당뇨 전
heejae1212.com
공복혈당과 식후 1시간,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가지는 의미
건강검진에서 혈당 수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공복혈당, 식후 1시간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그리고 당화혈색소 수치는 당뇨병 여부와 그 위험도를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
heejae1212.com
댓글